20.3 C
Seoul
2023년 3월 30일 (목요일)

Most recent articles by:

정태훈 논설위원

- Advertisement -

[정태훈 칼럼] 선별복지인가, 보편복지인가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정부는 국민들의 민생을 달래기 위해 재난지원금이라는 것을 만들어 국민에게 금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지금은 2차 재난지원금까지 확정되어 지급 예정인데 1차, 2차 재난지원금은 공통분모가 있다. 지원금을 전 국민에게 지급하느냐, 특정 기준에 부합하는 국민에게 줄 것인가라는 피할 수 없는 논쟁이 있다는 것이다. 두 가지 유형의 복지정책도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우열을 가릴 수 없다. 전자의 경우 모든 국민에게 지원을 하기 때문에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국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재원이 요구되며 효율적인 복지정책이 아닐 수 있다. 극단적으로 보면 상위 0.01%가 지원금이라는 명목으로 20만원을 받는 것과 하위 0.01%가 그 돈을 받는다는 것은 다르기 때문이다. 즉 20만원이라는 액수가 두 계층에 다르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선별복지의 경우 복지의 효율성을 추구하여 지원이 좀 더 필요한 계층에게 집중적인 지원을 한다. 앞에서 서술했듯이 특정 기준에 부합되지 않아 못 받는 사람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얻는다.는 것이다. 선별복지의 성격은 그 복지혜택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상위계층보다는 하위계층이 받게 된다. 대한민국은 소득재분배라는 명목으로 소득구간을 두어 소득이 높은 사람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걷는다.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내가 낸 세금 왜 난 하나도 받지 못하는가’ 하며 국가에 대한 불신까지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선별복지, 보편복지 모두 완벽한 복지정책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때 그때마다의 상황에 맞춰 하나를 택하던지 두 개를 혼합한 정책을 고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책은 보완과 보완, 보완을 하면서 점점 발전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재난지원금으로만 이 논의가 끝나지 않고 기본소득으로도 이 논의가 계속 되어 좋은 정책으로 탄생하길 바란다.

Must read

국힘, ‘채널A 사건’ 2심도 무죄, 철저한 수사로 ‘권언유착’ 전말 밝혀야

양금희 수석대변인 논평 국민의힘 양금희 수석대변인은 19일 논평을 통해...

제20대 대통령선거 재외국민 유권자 23만1,314명 등록

전체 재외유권자의 11.5% 수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월 10일, 제20대 대통령...
- Advertisement -